제1세션 | “타인에 대해 상상함, 자신을 구성함 - 한국과 한국의 표상” “Imagining Others, Constructing Selves: Korean and Its Representations” |
제2세션 | “만남과 나눔, 한국 정원 속의 문화예술” “Meeting & Sharing: Culture & Art in Korean Gardens” |
제3세션 | “해방 후 냉전시기 한국에서 기독교인의 나라 만들기 - 이념, 정치, 활동” “Nation Building by Christians in Cold War Korea Following Liberation: Ideologies, Politics, and Activities” |
제4세션 | “향약의 사상사 - '지배'와 '통제'의 관점에서 '자율'과 '질서'의 관점으로” “The Conceptual History of Hyang'yak (village code): changing view from ruling & control to autonomy & order” |
제5세션 | “해방 후 한국의 이슈 - 식민 지배의 잔재를 청산하려는 노력은 어떻게 지연되었나” “Issues in Liberated Korea: Stalled Efforts to Shed Colonial Legacies” |
제6세션 | “정조대 조선의 학술지형: 권력, 지식, 도서” “Chosŏn's Topography of Learning during King Chŏngjo’s Reign: Power, Knowledge, and Books” |
제7세션 | “교차성과 한국의 대중매체 문화” “Intersectionality & Korean Media Culture” |